무상 처리하던 폐목재, 내년부터 유상 판매 전환해 세수 확보
회수로봇·자원순환가게 운영 활기…시민 참여형 교육도 병행

고양환경에너지시설 전경. [사진=고양시]
고양환경에너지시설 전경. [사진=고양시]

[고양 = 경인방송] 경기 고양특례시가 오는 2026년 수도권매립지 생활폐기물 직매립 금지에 대비해 폐기물을 자원으로 바꾸는 '순환 경제' 정책을 대폭 강화합니다.

고양시는 우선 내년부터 그동안 무상으로 처리해오던 폐목재를 유상 판매로 전환한다고 밝혔습니다.

지난해 기준 고양시에서 발생한 대형 폐기물 중 무상으로 처리된 폐목재는 약 1만1천 톤으로 전체의 47%에 달합니다.

시는 이를 온비드 시스템을 통해 업체에 매각함으로써 시 재정 수입을 늘리고, 폐목재를 친환경 에너지원으로 재활용하는 선순환 구조를 만들겠다는 구상입니다.

이미 고양시는 소각장 폐열을 지역난방공사에 판매해 연간 22억 원, 음식물 쓰레기 바이오가스 생산으로 6천700만 원의 수익을 올리며 폐자원 에너지화의 효과를 보고 있습니다.

시민들이 피부로 느낄 수 있는 생활 밀착형 자원순환 정책도 확대됩니다.

시는 올해 시청 등 7곳에 '순환자원 회수로봇' 11대를 설치해 운영 중입니다.

이 로봇은 투명 페트병 등을 넣으면 자동으로 인식해 현금처럼 쓸 수 있는 포인트를 적립해 주는데, 올해에만 시민 1만3천여 명이 이용해 약 2천만 원 상당의 혜택을 돌려받았습니다.

동 행정복지센터와 연계한 '자원순환가게'와 '재활용품 교환사업'을 통해 시민들이 분리배출에 적극적으로 동참할 수 있는 기반도 넓히고 있습니다.

이와 함께 미래 세대인 학생들을 위한 교육 프로그램도 강화합니다.

시는 지역 내 학교를 직접 찾아가 분리배출 체험과 보상을 제공하는 '자원순환의 날' 행사를 12월까지 지속적으로 운영하고, 공동주택 등을 대상으로 한 '찾아가는 쓰레기 줄이기 교육'을 통해 올바른 재활용 문화를 정착시킬 계획입니다.

이동환 고양특례시장은 "폐기물을 단순한 쓰레기가 아닌 소중한 자원으로 활용하는 것이 중요하다"며 "환경과 지역경제를 모두 살리는 순환경제 구축에 시민들의 적극적인 참여를 부탁드린다"고 말했습니다.


※ 여러분의 제보가 인천과 경기를 변화시킵니다.

[제보] https://news.ifm.kr/com/jb.html

[구독] https://v.daum.net/channel/551718/home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경인방송을 구독해주세요!

저작권자 © 경인방송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